-
cisco vlan 설정 방법네트워크/기술 2025. 3. 25. 09:57
cisco vlan 설정 방법
스위치는 포트별로 Collision Domain(충돌 도메인)을 분할하며, 각 포트와 MAC 주소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MAC Address Table을 유지합니다.
스위치 포트에는 두 가지 주요 모드가 있습니다.
- Access 모드: 특정 VLAN에만 속하는 전용 구간
- Trunk 모드: 스위치가 보유한 모든 VLAN을 전송하는 공용 구간
🔹 Access 모드 설정
Access 모드는 특정 VLAN에만 속하는 포트로 설정할 때 사용합니다.
SW(config)# vlan 10 # VLAN 10 생성
SW(config-vlan)# name vlan10 # VLAN 이름 지정 (선택 사항)
SW(config-vlan)# exit
SW(config)# interface f0/1 # 포트 진입
SW(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 Access 모드 설정
SW(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10 # VLAN 10에 속하도록 지정
🔹 Trunk 모드 설정
Trunk 모드는 여러 VLAN의 트래픽을 전달해야 할 때 사용합니다.
SW(config)# interface f0/5
SW(config-if)# switchport mode trunk # Trunk 모드 설정🔹 예제#1
✅ Switch0 설정
interface FastEthernet0/1
switchport access vlan 10
switchport mode access
interface FastEthernet0/2
switchport access vlan 20
switchport mode access
interface FastEthernet0/5
switchport mode trunk
✅ Switch1 설정
interface FastEthernet0/1
switchport access vlan 10
switchport mode access
interface FastEthernet0/2
switchport access vlan 20
switchport mode access
interface FastEthernet0/5
switchport mode trunk🔹 예제#2
✅ Switch0 설정
interface FastEthernet0/1
switchport access vlan 10
switchport mode access
interface FastEthernet0/2
switchport access vlan 10
switchport mode access
interface FastEthernet0/3
switchport access vlan 20
switchport mode access
interface FastEthernet0/5
switchport mode trunk
✅ Switch1 설정interface FastEthernet0/1
switchport access vlan 20
switchport mode access
interface FastEthernet0/2
switchport access vlan 30
switchport mode access
interface FastEthernet0/6
switchport mode trunk
✅ Switch2 설정interface FastEthernet0/1
switchport access vlan 10
switchport mode access
interface FastEthernet0/2
switchport access vlan 30
switchport mode access
interface FastEthernet0/6
switchport mode trunk
🔹 스위치의 VLAN 트래픽 처리 방식
포트 모드일반 패킷 처리VLAN 태그가 있는 패킷 처리Access VLAN 태그를 추가 포트 VLAN과 ID가 일치하면 태그 제거 후 전송, 불일치 시 차단 Trunk VLAN 태그 없이도 전송 가능 해당 스위치가 보유한 VLAN이면 통과 ⚠ 주의: VLAN 태그가 포함된 패킷이 PC로 전달되면, PC가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캡슐화(Encapsulation) & 디캡슐화(Decapsulation)
- Encapsulation: 일반 패킷에 VLAN 태그를 추가하는 과정
- Decapsulation: VLAN 태그를 제거하여 원래 패킷을 복원하는 과정
스위치는 트렁크 포트에서 VLAN 태그를 포함해 패킷을 전달하고, 액세스 포트에서는 태그를 제거하여 PC로 전송합니다.
반응형'네트워크 >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sco nexus(백본) 스위치 점검 명령어 정리 (0) 2025.03.25 Juniper 스위치 show 명령어 정리 (0) 2025.03.25 네트워크 장애 해결 방법(트러블 슈팅)#1 (0) 2025.03.19 ACL(Access Control List) (0) 2025.03.18 STP (Spanning-Tree Protocol) (0) 2025.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