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isco hsrp 설정 및 개념(이중화)네트워크/기술 2025. 3. 14. 10:46
hsrp(hot standby routing protocol)
개념
- 실제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라우터 IP 주소를 default Gateway로 설정하고 해당 주소에 대해 Active 라우터와 Standby 라우터의 역할을 두어 처음에는 Active 라우터가 해당 IP 주소의 역할을 대신 수행하다가 장애시 자동으로 Standby 라우터가 Active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술
주요 특징
- 다중 hsrp 그룹 설정 가능(하나의 장비에서 vlan 별로 설정 가능)
- L3 스위치(백본)에서 주로 구성함
- 시스코 장비에서만 사용 가능(타 벤더에도 이중화 기술은 있지만 호환 불가)- 라우터기 때문에 BPDU는 사용 안함
- hello 메세지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 hello 주기 : 3초, hold timer(실패 감지 시간): 10초)
구성 및 설정 방법
- L3 ACTIVE 설정
interface Vlan 10ip address 10.0.10.2/24
hsrp 10preempt
priority 110
timers 1 3
ip 10.0.10.1- L3 STANDBY 설정
interface Vlan 10ip address 10.0.10.3/24
hsrp 10preempt
priority 110
timers 1 3
ip 10.0.10.1반응형'네트워크 >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L(Access Control List) (0) 2025.03.18 STP (Spanning-Tree Protocol) (0) 2025.03.17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0) 2025.03.17 cisco static routing (스태틱 라우팅)#2 (0) 2025.03.14 cisco static routing (스태틱 라우팅)#1 (0) 2025.03.14